1)낮음(0-2) 자외선 강도가 약하여 자외선에 대하여 특별한 대책을 요하지 않으나 피부형태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검은 피부는 일반적인 메이크업만으로도 충분하지만 하얀 피부는 상황에 따라 SPF 지수 15 정도의 자외선 차단 크림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메이크업을 하면 효과적입니다.
2)보통(3-5) 일반적으로 하절기의 맑은 날이지만 구름이 다소 끼어 예상 자외선지수가 3-5 범위에 해당합니다. 예상되는 피부장애 자외선강도가 보통이지만 장시간 노출 시 누적적으로 자외선에 노출되어 피부홍반이나 탠닝을 가져올 수가 있습니다.
3)높음 (6-7) 일반적으로 하얀 피부의 사람은 상대적으로 자외선의 노출효과가 자외선지수 8이상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가볍게 보아서는 안됩니다. 외출이나 스포츠 활동시 선글라스, 모자, 양산 등을 이용하여 눈, 피부를 보호하고 SPF 지수 26-35 범위의 자외선차단 전용크림을 바른다. 자외선 차단크림을 바른 후 메이크업으로 마무리하면 자외선차단 지속 및 차단효과가 증대됩니다.
4)아주 높음(8-10) 일반적으로 하절기 맑은 날은 자외선 강도가 매우 강한 적극적인 피부보호 대책이 필요합니다. 예상되는 피부장애 자외선강도가 너무 강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은 즉각적으로 나타나며 피부홍반, 탠닝, 피부암의 초래, 백내장 유발 등의 피부에 악영향을 가져올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오전 11시에서 오후 1시까지는 가급적 외출을 삼가며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도록 하며 과도한 야외스포츠, 야외활동을 피하고 꼭 외출을 해야할 경우 선글라스나, 모자, 양산 등을 이용하여 눈, 피부를 보호해야 합니다. 또 SPF 지수가 높은 자외선차단 전용크림을 발라야 하며 SPF 지수는 36~45 정도가 적당하며, 피부 민감 정도에 따라 그 이하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외선 차단크림을 바른 후 메이크업으로 마무리하면 자외선 차단 지속효과와 차단효과는 증대된다.
5)위험(11이상) 외출을 삼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에서는 보통 11이상이 나올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최근에 한국의 날씨가 한 여름에 열대 우림 기후로 변해 가는 경향이 있어 혹시 11이상이 나올때는 외출을 삼가하시되 외출을 해야 할 경우는 한 낮에 외출은 피하고 선글라스,모자,긴팔옷, 양산등을 준비하고 SPF지수가 46이상을 사용하고 PA는 +++ 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장시간 외출은 삼가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
'토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인권위 "민원인이 먼저 욕설해도 공무원은 참아야" (0) | 2010.07.14 |
---|---|
[스크랩] 피부 고민에 따른 효과적인 과일팩 (0) | 2010.06.09 |
[스크랩] 청량음료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0) | 2010.06.09 |
남성의 성형수술 (0) | 2008.07.15 |
기내 말싸움으로 비행기 회항해 (0) | 2008.07.15 |